※ 공대위 소속단위 협의에 따라 조선일보, TV조선 등 계열언론사, 채널A, 아시아경제, 세계일보, 뉴시스의 본 보도자료 인용을 불허합니다.
[성명]
국가가 인정한 인권침해, 트랜스젠더 강제 전역
- 국가인권위원회의 변희수 하사 진정 인용 결정 환영 성명 -
2020년 12월 14일, 국가인권위원회는 제20차 전원위원회를 개최하여 트랜스젠더 군인 변희수 하사에 대한 육군의 강제 전역 처분은 인권침해가 맞다는 결정을 내렸다. 대한민국 국가 기관이 트랜스젠더 군인 강제 전역을 인권침해로 인정한 첫 사례다.
변희수 하사는 지난 1월 20일, 전역심사를 2일 앞두고 인권위에 진정을 제기하였다. 동시에 부당한 전역심사를 중지시켜줄 것을 요청하는 긴급구제 신청도 함께 제기하였다. 변희수 하사가 이미 성확정수술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남성 군인을 대상으로 하는 심신장애 기준을 적용하여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전역 심사를 진행하는 것은 명백한 인권침해라는 것이 진정의 주된 취지였다. 당시 인권위는 사안의 긴급성을 인정하여 이례적으로 하루 만에 긴급구제 결정을 내리고 1월 21일, 육군본부에 전역심사위원회 개최를 3개월 연기할 것을 권고하였다. 그러나 육군은 이와 같은 권고를 무시하고 전역심사를 강행, 1월 22일자로 변 하사를 강제로 전역시켰다. 육군이 명시한 유일한 전역 사유는 ‘남성의 음경과 고환을 지니지 못한 점이 장애에 해당한다는 것’이었다.
인권위는 조사를 통해 변 하사가 정상적인 절차에 따라 본인의 성정체성과 수술에 관련된 사실을 상부에 보고한 뒤 수술을 받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고 명시하였다. 아울러 성확정수술을 받은 변 하사를 심신장애인으로 볼 법적 근거가 전혀 없으며, 의학적 수술에 해당하는 성확정수술 과정에서 남성의 음경과 고환을 상실한 것이 ‘기능장애’, ‘기능상실’, ‘신체훼손’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육군은 법률적 근거 없이 자의적으로 변 하사를 전역처분 시킨 것이라 하였다.
또, 인권위는 변 하사가 군 복무에 적합하지 않은 건강상태라 주장하는 육군의 주장 역시 근거가 없다고 보았다. 군의 특수성과 국민적 공감대 등 전투력 상실과는 무관한 추상적인 개념만을 들어 변 하사의 현역 복무 부적합을 주장하고 있다고 지적한 것이다. 인권위는 변 하사의 신체 상태가 현역으로 복무하기 부적합할만큼 전투력이 상실되었다고 보기 힘들고, 변 하사의 보직이었던 전차조종수는 이미 다수의 여성 부사관이 근무하고 있어 복무상 문제도 없다고 판단하였다.
인권위는 보직 조정, 영외 숙소 배정, 부대 배치 전환 등은 군의 인사행정 계통 상에서 해소해야 할 문제이지, 변 하사를 군에서 내쫓는 방식으로 해소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점, 군이 간부 정원을 설정함에 있어 남군과 여군을 특정해 별도로 분리 운용하지 않고 있다는 점, 보직 배정에 있어 성별의 구분을 두지 않는다는 점 등을 들어 선발 과정에서의 구분이 있다는 이유로 변 하사가 여군으로 복무하는 것이 ‘선의의 피해자’를 만드는 반사적 불이익과는 무관하다는 점도 분명히 하였다.
아울러 인권위에 앞서 유엔이 변희수 하사 강제 전역 사건을 인권침해로 규정한 바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군이 이러한 우려를 엄중하게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고 권고하였다. 지난 9월, 한국 정부는 유엔의 권고에 대해 변 하사의 전역은 법률에 의거한 적법 처분이며 트랜스젠더 군인의 복무는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문제라고 주장하며 변 하사의 군 복무가 허용된다면 한국군의 작전, 임무 수행이 혼란을 겪게 될 것이라는 답변을 내놓은 바 있다. 국가와 시민을 위해 일하고 싶다는 한 청년의 성정체성 때문에 한 나라의 국방 정책이 혼란에 빠질 수 있다는 논리의 비약이 황당할 따름이다. 미국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후 트랜스젠더 군 복무 및 입대를 다시 허용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트랜스젠더의 군 복무를 허용하는 것이 군대에 어떤 유의미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아무런 증거도 없다”고 하였다. 국방부 스스로도 논리가 궁색하다는 점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세계적인 망신이 아닐 수 없다.
인권위는 국방부에도 세계 각국이 트랜스젠더의 군 복무를 허용하고 있다며 우리나라와 비슷한 징병제 국가인 이스라엘이 복무중 성확정수술을 한 군인의 복무를 허용함은 물론, 수술 비용, 호르몬 치료, 성형수술 비용까지 의료보험으로 지원하고 있다는 점, 독일에는 트랜스젠더 중령급 지휘관이 있다는 점, 캐나다, 영국이 트랜스젠더 군인에 대한 의료비 지원을 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우리 군도 트랜스젠더의 군 복무를 위한 제도 개선에 나설 것을 주문하였다.
‘트랜스젠더 군인 변희수의 복직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는 인권위의 결정을 적극 환영한다. 국방부는 지금이라도 권고를 수용하여 부끄러운 과오를 씻기 바란다. 6개월 간 첫 공판 기일도 지정하고 있지 않은 사법부 역시 인권위의 결정을 적극 참작하여 변희수 하사가 하루 빨리 군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재판을 개시하여 강제 전역에 대한 취소 판결을 하기 바란다.
> 자료실 바로가기
2021. 02. 01.
트랜스젠더 군인 변희수의 복직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 공익변호사와 함께하는 동행 / 군인권센터 / 다양성을 향한 지속가능한 움직임, 다움 / 더불어민주당 성소수자위원회 준비모임 /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 / 무지개예수 / 성소수자 부모모임 / 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 인권운동사랑방 / 정의당 성소수자위원회 / 중앙대학교 자유인문캠프 / 참여연대 / 천주교인권위원회 / 청소년 성소수자 위기지원센터 띵동 / 트랜스해방전선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센터 / 한국여성단체연합 / 한국여성민우회 /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
관련 보도자료
· 2020-01-16 [보도자료] 한국군 최초의 성전환 수술, 트랜스젠더 부사관의 탄생을 환영한다
· 2020-01-20 [보도자료] 트랜스젠더 군인, 전역심사 연기 요청 반려에 따른 국가인권위원회 긴급구제 신청
· 2020-01-21 [논평] 국가인권위원회의 트랜스젠더 군인 긴급구제 결정을 환영한다.
· 2020-01-22 [보도자료] 17-500589, 트랜스젠더 A하사는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당사자발언문 포함).
· 2020-02-04 [보도자료] 트랜스젠더 변희수 하사의 복직을 위한 변호인단 공개 모집
· 2020-02-10 [보도자료] 변희수 하사가 가족관계등록부 상 ‘여성’이 되었습니다
· 2020-07-03 [성명] 변희수는 반드시 군으로 돌아갈 것이다-인사소청 기각 결정 규탄
· 2020-08-11 [보도자료] 트랜스젠더 군인 변희수의 부당 전역, 사법부가 바로 잡아야 한다.
· 2020-09-29 [보도자료] 유엔, ‘트랜스젠더 군인 변희수 하사 강제 전역은 국제인권법 위반’
· 2021-01-27 [논평] 트랜스젠더 포용하는 미군, 변희수 강제전역 1년이 지나도록 복직 외면하는 한국
Forceful Discharge of a Transgender Soldier, the Human Rights Violation Acknowledged by the State
- Welcoming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s decision to approve Byun Huisu’s petition -
On December 14, 2020,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NHRCK) held the 20th Plenary Meeting and decided that the Army's forceful discharge of Staff Sergeant Byun Huisu, a transgender soldier, was indeed a violation of human rights. This is the first time that a South Korean national agency has recognized the forceful discharge of a transgender soldier as a violation of human rights.
Staff Sergeant Byun Huisu filed a petition with the NHRCK on January 20, two days before the examination on discharge. At the same time, she also filed an application for emergency relief (urgent action) to request an halt the unfair examination on discharge. The main purpose of the petition was that it was a clear violation of human rights to conduct an examination on discharge against her will by applying the criteria for mental or physical disorder for male soldiers although Staff Sergeant Byun Huisu had already undergone sex confirmation surgery.
Back then, on January 21, the NHRCK made an extraordinary decision on emergency relief in a day acknowledged the urgency of the issue and recommended the Army Headquarters to postpone the meeting for the examination on discharge for three months. However, the Army ignored the recommendation and forced Staff Sergeant Byun to leave the military as of January 22. The only reason for the Army's discharge was that "the failure to have a male penis and testicles constitutes a disability."
The NHRCK stated that it confirmed through an investigation that Staff Sergeant Byun had undergone surgery after reporting to her superiors about the gender identity and surgery in accordance with normal procedures. In addition, there is no legal basis to regard Byun, who underwent sexual confirmation surgery, as a mentally disabled person. Also, it was viewed that the loss of male penis and testicles during the sex confirmation surgery, which is a medical operation, does not constitute "functional failure", “loss of function”, or "body damage". Therefore, the Army arbitrarily discharged the staff sergeant without legal grounds.
The NHRCK also viewed that the Army’s claim that Staff Sergeant Byun was inadequate for service in the military as groundless. It pointed out that the Army is insisting on Sergeant Byun's non-conformity in active duty, citing only abstract concepts unrelated to the combat power, such as military's special features and public consensus. The NHRCK found that Staff Sergeant Byun's physical condition was not enough to be considered to be unfit for active service and that there were no service problems because of the staff sergeant's position, the tank driver, as there are already female noncommissioned officers serving in the position.
The NHRCK stressed that the issue of adjusting positions, allocating accommodation outside the barracks, and changing the deployment of troops should be resolved through the military's personnel administration system and that it is unfair to solve the issues by kicking Staff Sergeant Byun out of the military. It was also clear that Staff Sergeant Byun's service as a female soldier had nothing to do with the reflexive disadvantage of creating "innocent victims" because the military does not distinguish male and female soldiers in respect to setting a fixed number of the military personnel and separate males and females in terms of assignment of positions.
In addition, the NHRCK highlighted that the U.N. had defined the forced discharge of Staff Sergeant Byun Huisu as a violation of human rights and recommended that the military should take such concerns seriously. In last Septembe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responded to the U.N. recommendations by stating that the discharge of the staff sergeant is a lawful disposition and that the service of transgender soldiers is a matter of social consensus and that if Byun is allowed to serve in the military, the Korean military's operations and mission performance will be disordered.
It is an absurd leap of logic to assert that a young person's gender identity, who wants to work for the nation and the citizens, could disrupt the country's defense policy. After inauguration, the U.S. President Biden signed an executive order allowing transgender individuals’ military service and enlistment, saying, "There is no evidence that allowing transgender military service has any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militar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tself must be well aware of the poor logic. It is a global humiliation.
The NHRCK also said that countries around the world allow transgender soldiers to serve in the military, noting that Israel, a country with conscription system similar to Korea, provides medical insurance for soldiers who have sex confirmation surgery in service, including the cost for surgery, hormonal therapy and plastic surgery, and that Germany has a transgender commander, and that Canada and the U.K. also provide transgender soldiers with financial aids for medical treatment. It requested the military to take steps to improve system for transgender military service.
The Joint-counteraction Committee for Reinstatement of Byun Hui-su welcomes the decision of the NHRCK.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should accept the recommendation even now to clean up the shameful mistakes. The Joint-counteraction Committee expects the judiciary, which has not designated a trial date for the initial hearing in six months, to actively take into account the NHRCK's decision and begin the trial and rule cancellation on the forceful discharge so that Staff Sergeant Byun Huisu can return to the military as soon as possible.
[Annex. The Decision of the NHRCK]
1 February 2021
Joint-counteraction Committee for Reinstatement of Byun Hui-su, the Transgender Soldier
Lawyers for Public Interests, Center for Military Human Rights Korea, Dawoom – Together for Change, Preparation Group for Sexual Minority Committee of the Democratic Party, Social and Labor Committee of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Rainbow Jesus, PFLAG Korea, Rainbow Action Against Sexual-Minority Discrimination of Korea, Sarangbang, Sexual Minority Committee of the Justice Party,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Catholic Human Rights Committee, LGBTQ Youth Crisis Support Center "DDingDong", Free Trans Right, Human Rights Center of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Korea Women’s Association United, Womenlink, Solidarity for LGBT Human Rights of Korea, a total 18 CS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