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알림 > 보도자료

[성명] 변희수는 반드시 군으로 돌아갈 것이다-인사소청 기각 결정 규탄 [Joint Statement] Byun Hui-su Will Be Back

작성일: 2020-07-03조회: 3883

[ 성명 ] 

※ 조선일보, TV조선 등 계열언론사, 채널A, 아시아경제, 세계일보의 본 성명 인용을 불허합니다. 

변희수는 반드시 군으로 돌아갈 것이다.

- 트랜스젠더 군인 변희수 하사 인사소청 기각 결정 규탄 성명 -

 

 육군본부 군인사소청심사위원회는 2020. 07. 03. 트랜스젠더 군인 변희수 하사의 강제 전역 취소 인사소청 청구를 기각하였다. 심사 과정에서 강제 전역이 위법부당한 처분임이 충분히 소명되었음에도 소청을 기각한 육군본부를 엄중히 규탄한다.

 

 육군은 소청심사 과정에서 2020. 1. 22. 자 전역 처분 당시 변 하사의 성별이 여성이라는 점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을 자인하였다. 변 하사 전역의 법적 사유는 ‘음경과 고환이 손실되어 심신장애등급 상 전역심사 대상자가 되었다는 점’이다. 해당 기준은 남성의 심신장애사유이기 때문에 처분의 합법성은 변 하사의 성별이 남성일 때만 성립한다.

 

 그런데 당시 변 하사는 법원에 가족관계등록부정정(성별정정)을 신청 한 상태였고, 2020. 02. 10.에 정정 허가 결정을 받았다. 법적으로 등록부정정은 등록부 상의 기재가 사실과 다름을 확인하고 정정하는 절차로, 변 하사의 성별이 여성이지만 남성으로 오기되어있음을 바로 잡는 것이 그 취지다. 그렇다면 1. 22. 자 전역 처분은 2. 10. 자 법원 결정에 따라 등록부에 오기되어있던 성별에 근거한 처분이 되어 위법하고 효력이 없다. 그러나 육군은 처분 당시 이러한 법률관계도 따져보지 않고 변 하사의 성별에 대한 고려 없이 처분을 내린 바 소청은 인용되는 것이 순리였다.

 

 아울러 소청심사에서는 당시 육군이 변 하사가 수술 이후 계속하여 군 복무를 할 수 있을지, 없을지에 대해 건강상태를 확인, 판단 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하지 않고 군병원에서 수술 후 가료 중인 상태에서 황급히 전역 처분을 내렸다는 점도 지적되었다. 군인은 심신장애가 있다고 무조건 전역하지 않는다. 군인사법 시행규칙 제53조에 따르면 군인은 심신장애에도 불구하고 현역복무를 원할 경우, 규칙이 정한 예외를 제외하고는 건강상태 등을 심의하여 현역으로 복무하게 할 수 있다. 그런데 변 하사는 당시 예외 규정에 저촉되는 것이 없었고, 본인도 현역복무를 희망하였다. 그렇다면 전역심사위원회는 변 하사의 건강 상태가 계속 복무하는 데 적합한지 심의했어야 하는데 수술 후 요양 기간도 끝나지 않은 환자를 병원에서 바로 전역시켜버렸다. 이는 명백히 부당한 처사였다.

 

 이처럼 소청심사 과정에서 강제전역 처분이 위법부당한 것임이 충분히 소명되었음에도 육군은 납득 가능한 설명 없이 처분이 적법절차에 따랐다는 말만 반복하며 소청을 기각시켰다. 사실 이와 같은 결과는 이미 예상된 바였다. 육군은 1. 22. 전역 처분을 내린 뒤 지속적으로 언론을 통해 사실과 다른 내용을 퍼뜨려 여론을 호도하고 변 하사의 명예를 훼손해왔다. 처분이 위법부당하다는 점을 스스로 잘 알고 있기에 비겁한 거짓말로 이를 합리화해 온 것이다.

 

 육군은 줄곧 언론에 변 하사에게 허락했던 것은 사적국외여행 밖에 없고, 성확정 수술 계획을 몰랐다는 식으로 해명해왔다. 이러한 해명은 일파만파 퍼져 변 하사가 마치 휴가를 나가 몰래 수술을 하고 부대로 돌아와 떼를 쓴 사람인 마냥 매도되는 결과를 낳았다.

 

 그러나 변 하사는 2019년, 담당 군의관으로부터 성확정 수술을 권유받고 이를 부대에 보고하여 승인을 득하였다. 이후 적법한 절차에 따라 여단장에게 수술과 가료 일정이 명시된 상세한 사적국외여행 계획을 보고하였고 군단장의 승인을 받았다. 군단장은 변 하사와 관련한 일련의 상황을 육군참모총장에게 대면보고까지 하였다. 이 과정에서 만약 육군이 수술에 반대했다면 수술을 위한 사적국외여행 허가를 지휘관에게 상신 했을 때 이미 변 하사를 현역복무부적합 심의에 회부했을 것이다. 그러나 변 하사는 이후 아무 문제 없이 부대의 배려 속에 수술을 받으러 출국할 수 있었다.

 

 변 하사는 우리 군에도 트랜스젠더가 존재한다는 외침을 전했다. 군은 트랜스젠더가 차별받지 않고 군에서 복무할 수 있도록 법과 제도를 개선하고, 다른 군인들과 함께 복무할 수 있는 여건을 고민했어야 한다. 그러나 군의 인식 체계는 여전히 트랜스젠더 군인의 복무를 껄끄럽게 여겨 말도 안 되는 위법한 이유를 조직적으로 만들어 붙인 뒤 전역시킨 데에서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했다.

 

 변희수 하사는 부당한 소청 결과에 불복하며, 행정소송을 제기할 예정이다. 변 하사는 지난 29일, 소청심사에 직접 출석하여 “호르몬 주사 등이 임무 수행에 전혀 지장이 없고, 전투준비태세를 언제나 갖추고 있다. 즉각 임무를 수행할 준비가 되어있으니 복직시켜달라.”고 의연히 주장했다. 또, 이날 소청심사위원회에 제출한 생활기록부에 따르면 변 하사는 중학교를 다닐 때부터 군인이 되기를 희망했었다고 한다. 비겁한 이유로 자신의 꿈을 무너뜨리고 존재를 부정하는 군에 여전히 충성하는 마음으로 전투준비태세를 갖추고 있다는 변 하사 앞에 우리 군은 부끄러움을 느껴야 한다.

 

 트랜스젠더 군인 변희수는 반드시 군으로 돌아갈 것이다. 인권·시민사회단체 역시 기갑부대에서 전차를 조종하는 변희수의 모습을 다시 보는 그날까지 굳건히 연대해나갈 것이다.

 

2020. 07. 03.

 

트랜스젠더 군인 변희수의 복직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 공익변호사와 함께하는 동행 / 군인권센터 / 다양성을 향한 지속가능한 움직임, 다움 / 더불어민주당 성소수자위원회 준비모임 /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 / 무지개예수 / 서강대학교 성소수자협의회 / 성소수자 부모모임 / 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 인권운동사랑방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 정의당 성소수자위원회 / 참여연대 / 천주교인권위원회 / 청소년 성소수자 위기지원센터 띵동 / 트랜스해방전선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센터 / 한국여성단체연합 / 한국여성민우회 /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 이상 20개 단체)

관련 보도자료

[Statement]

Byun Hui-su Will Be Back

- Denunciation on the decision of rejection of personnel complaint by the transgender soldier, Army Staff Sergeant Byun Hui-su -

On 3 July 2020, the Army Headquarters (HQ) committee for examination of petitions on military personnel management rejected the request of the transgender soldier, Army Staff Sergeant Byun Hui-su, calling for the cancellation of involuntary discharge from active service. The undersigne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sternly denounce the Army HQ rejecting such a request in spite of the sufficient proof of unlawfulness and unfairness of the original disposition of discharge during the deliberation meeting.

On 29 June 2020, the Army acknowledged that the original disposition of discharge on 22 January 2020 did not take her being gendered as a female into consideration. The legal basis of her discharge is ‘being a person subject to examination on discharge from active service based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sorder tier due to loss of male genital organ and testes. However, as such a criterion is for males’ disorders, the legality of the disposition based on it can only be accepted when Staff Sgt. Byun’s sex is male.

Before the decision, Staff Sgt. Byun had already applied for the correction of sex in the family relations register (26 December 2019). In a legal sense, the rectification of family relations registry means the confirmation of error in the registry that is different from the fact and correction of it accordingly. In this case, the purport of the revision is to rectify the misinformation of her sex. If so, the disposition of discharge on 22 January becomes unlawful and invalid after the decision of the court on 10 February as it was based on the erroneous entry. Therefore, it was natural for the Army to accept her request since the Army did not even examine the juristic relations or take account of her changed sex.

In addition, it was pointed out during the committee for examination of petitions on military personnel management as well that the Army did not take proper opportunities to check and review Byun’s health concerning her ability to serve in the military after the surgery. Instead, the Army hastily decided while she was under medical treatment. Not all soldiers are unconditionally discharged because they have physical or mental disorders. According to Article 53 (3) of the <Enforcement Rule on Military Personnel Act>, a soldier may continue to work in active service after examination of health, etc. if he or she wishes to as long as he or she does not fall under the prescribed exceptions. However, Byun did not fall under any exceptions and clearly stated her desire to continue military service. If so, the committee for examination on discharge should have reviewed her health conditions to see if she was fit to serve in the military. Still, the Army just, in haste,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a patient whose treatment after surgery had not even finished. It was squarely unjust.

The Army rejected the request, repeating that the disposition observed the due process without any further acceptable explanations, even though it was thoroughly explained that the disposition of the involuntary discharge of Byun was unlawful and unfair. In fact, such a result is as expected. The Army misled the public opinion by spreading facts through media that are not true after its disposition on 22 January and defamed Staff Sgt. Byun’s reputation. The Army had to rationalize for it knows itself that the disposition was illegitimate and unfair.

The Army made excuses over and over again that Ms. Byun was merely permitted the overseas travel and that it did not know of her plan to have the gender confirmation surgery. This sort of explanation spread out rapidly nationwide, framing her as a pesterer who came back to the military after secretly having had surgery on vacation. This resulted in the condemnation of her for what she had not done.

On the other hand, Staff Sgt. Byun acquired permission from her unit after her military surgeon suggested the gender confirmation surgery in 2019. Subsequently, she also reported to her Regiment and Corps Commanders about the plan for overseas travel, including specifications of the period required for surgery and after-treatment. The Corps Commander even reported this to the Army Chief of Staff face to face. If the Army was opposed to such an idea, it would have already brought Ms. Byun before the committee for examination on discharge based on her incompetence for active service by the time of her request for overseas travel. Nonetheless, she was able to depart to have the surgery through the good offices of her unit.

Staff Sgt. Byun delivered the voice that transgender persons exist in the Korean military. The military should have reformed the laws and policies to allow transgender soldiers to serve in the military and provided an environment that embraces them to work with others. However, the military’s awareness is not even a step away from the stance regarding their service uncomfortable, entailing a discharge based on systematically designed illegal grounds.

Now, Byun Hui-su is filing a lawsuit, protesting the result of the committee on military personnel management. She attended the committee on 29 June of this year and verbally stated, “Please, reinstate me. I am ready to carry out a mission immediately. Hormonal treatment does not affect my performance, and I am cleared for action” with honor. Again, according to her school records, she has longed to be a serviceperson since her middle school years. The armed forces should be ashamed of themselves before Ms. Byun, who remains loyal to the military, which broke her dream and denied her existence based on cowardly reasons.

The transgender soldier, Byun Hui-su, is to return to the military. The civil societies will unflinchingly remain in solidarity until the day we see her back in a tank, serving in an armored unit.

주소: (우: 04057)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촌로14길 20 (노고산동54-64) 태인빌딩 4층 전화: 02-7337-119 팩스: 02-2677-8119
기관명: 군인권센터(대표: 소장 임태훈) 고유번호: 101-80-06648

Copyright © 2006 군인권센터 All rights reserved.
후원계좌
국민 00993704013027 (예금주: 군인권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