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 뉴스 > 뉴스레터

[기고글] [오마이뉴스] D.P. 본 예비역 장군의 충격적 감상평... 과연 그럴까

작성일: 2021-09-02조회: 384

D.P. 본 예비역 장군의 충격적 감상평... 과연 그럴까

[김형남의 갑을,병정] 드라마 'D.P.' 열풍과 우리 군의 현 주소

탈영병 잡는 군무 이탈 체포조를 다룬 넷플릭스 드라마 'D.P.'가 화제다. 저마다의 경험으로 저마다의 맥락을 읽어낼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볼거리만큼 읽을거리도 많은 드라마다.

2016년의 일이다. 늦깎이 군 생활을 마무리할 무렵이었다. 오랜 폭언과 위협이 도를 넘었다고 생각한 동료 병사들이 간부들을 고소하고 싶어 했다. 도울 수 있는 바를 도왔다.

그러자 '결국 힘들어지는 건 군에 남을 후임들일 것'이라며 고소 취하를 설득해보라는 회유가 있었다. 피해자와 가해자를 한 자리에 모아 사과와 용서를 요구하던 간부도 있었다. 겉으로 위로를 건네며 뒤에선 괘씸히 여기는 이들도 있었다. 그렇게 분분한 와중에 전역을 했다. 마음이 쓰여 종종 소식을 묻곤 했다. 형사 사건은 합의가 되었고, 가해자들은 중징계를 받았더랬다. 그런데 소식을 전하던 친구 중 하나가 이런 이야기를 했다.

"그냥 참고 지낼 걸 그랬습니다."

지금도 그 말을 이고 산다 

가해자들은 떠났지만 사건 처리 과정에서 마음의 상처가 너무 컸고, 간부들의 시선이 곱지 않아 알게 모르게 부대 생활에 어려움이 많아졌기 때문이란다. 철책 울타리 속에서나 통할 한 줌도 안 되는 알량한 권력은 참지 못하는 이들을 참지 못했다.

나는 지금도 그 말을 이고 산다. 부당함은 맞서 싸우는 것보다 참는 것이, 힘든 일은 털어놓기보단 앓는 것이 당장은 힘들어도 오래도록 편하고 현명한 삶이라는 말. 갓 스무 살을 넘긴 평범한 청년의 입에서 나왔던 그 말을 머리에 이고 산다. 절반에 가까운 국민이 군대에서 체화한 이 지저분한 삶의 지혜는 "군대를 가야 사람이 된다"는 교훈이 되어 세대를 타고 끝 간 데 없이 전해진다. 집에서, 학교에서, 회사에서, 그렇게 군대가 만들어낸 '사람'들이 침묵을 요구받고, 또 요구하며 살아간다.

매년 백여 명의 꿈이 군대에서 진다. 군대를 가서 사람이 아니라 흙이 되어 돌아오는 이들이 이렇게 많다. 이 중 7할 정도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떠난 이는 말이 없고, 대부분 남겨둔 글도 없어 유가족의 답답함이란 이루 말할 데가 없다. 내가 일하는 군인권센터에는 그 답답함으로 전화를 주시는 유가족이 많다.

얼굴 한 번 본 적 없는 고인의 삶을 기록으로 접할 때마다 드는 허망한 생각이 있다. 이 사람이 군대를 가지 않았으면 지금쯤 뭘 하고 있을까. 죽음의 원인을 함부로 예단할 수 없는 것이지만, 그래서 드라마 'D.P.'에서 가장 와닿았던 대사는 주인공 안준호(정해인)의 "군대에 오지 않았다면 탈영할 일도 없지 않았을까요?"였다.

극 중에 나오는 탈영병은 다섯 명이다. 더 참을 수도, 참지 않을 수도 없는 이들은 언젠가 잡힐 걸 알면서도 부대로 돌아가지 않는다. 침묵의 비디오에 '일시정지' 버튼을 눌러놓곤 각자의 방식으로 저항한다. 죽거나, 자거나, 도망가거나, 시간을 벌거나, 복수하거나. 그러나 이내 체포되어 다시 재생되는 삶에서 바뀐 건 잠시 멈춰 섰던 이들의 꼬여버린 인생뿐이다.

거대한 군대는 낡은 수통처럼 바뀌지 않는다. 극 중의 군인들에게 탈영병은 풀어야 할 '문제'가 아니라 잡아와야 할 '실적'에 불과하다. 실적은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야 계속 오른다는 점에서 탈영병 잡는 D.P.는 변하지 않는 군대를 표상하는 역설적 존재가 된다. 그러므로 군대에 오지 않았다면 탈영할 일도 없었을 것이란 주인공의 말은, 군대가 존재하면 탈영도 계속되리란 씁쓸한 자조다.

우리 군대의 진짜 문제 

한 예비역 장군이 D.P.를 보고 SNS에 '10~15년 전에 가장 문란한 부대들에서나 일어날 가장 극단적 상황을 모아서 흥미롭게 만들었다'고 감상평을 남겼다. 동의하기 어렵다. 최근 1~2년 사이에 극 중에 나오는 엽기적인 가혹행위를 당한 피해자들을 유형별로 다 접해봤다. 물론 일반화 할 수 없다는 것도 잘 안다. 하여 요즘 군대가 그런지, 안 그런지 논쟁하는 일은 무의미하다. 날마다 새 사람이 들어오고 옛 사람이 나가는 곳이 군대다. 인간 유형이 천태만상인데 옛날에는 그랬고, 요즘은 그렇지 않다 단언할 계제가 아닌 것이다.

진짜 문제는 우리 군대가 여전히 누군가 마음만 먹으면 남의 인격을 짓밟고 권리를 침해할 수 있는 조직 문화 위에 세워져 있다는 것이다. 무조건 조용히 참고 사는 것이 금과옥조로 받아들여지는 군대 문화가 버티고 서있는 한, 고통의 형태와 양상이 달라질 뿐 고통 받는 이들은 사라지지 않는다. 병사들이 핸드폰을 쥐고 사는 세상에서도 신고 한 번 못해보고 가슴을 앓다 세상을 뜨거나 회복할 수 없는 병마를 얻는 이들이 여전히 부지기수다. "요즘 군대는 안 그렇다"는 말은 만용이고, 오만이다.

올해도 침묵에 질식한 꿈들이 하염없이 진다. 공군과 해군에서 성추행 피해자들이 그렇게 세상을 떠났다. 군대에 가야 사람이 된다고? 아니다. 사람이 군대에 가는 것이다. 사람답게 존중 받는 군인이 다른 사람도 지킬 수 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771185&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주소: (우: 04057)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촌로14길 20 (노고산동54-64) 태인빌딩 4층 전화: 02-7337-119 팩스: 02-2677-8119
기관명: 군인권센터(대표: 소장 임태훈) 고유번호: 101-80-06648

Copyright © 2006 군인권센터 All rights reserved.
후원계좌
국민 00993704013027 (예금주: 군인권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