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 소식 > 언론보도

[더팩트] '박정훈 진정 기각 의혹' 이종섭·김용원 입장 충돌…특검 이첩

작성일: 2025-07-21조회: 6

이종섭 "김용원 전화와 의견 물어"
김용원 "의견 주고받은 사실 없다" 

 '국가인권위원회 박정훈 대령 진정 기각 의혹'의 핵심 당사자인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과 김용원 인권위 상임위원(군인권보호관)의 주장이 엇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상병 외압 사건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팀은 이 사건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서 이첩받았지만 수사는 미진한 상태다.

이 의혹은 애초 채 상병 수사 외압을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했던 김용원 인권위 상임위원(군인권보호관)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과 통화 후 입장이 바뀌어 박정훈 대령 긴급구제 신청과 제3자 진정을 기각했다는 내용이다.

21일 <더팩트> 취재를 종합하면 이종섭 전 장관은 당시 김 위원이 먼저 전화를 걸어와 채 상병 사건에 대한 의견을 물어 답해줬다는 입장이다. 반면 김 위원은 이 전 장관에게 먼저 전화를 걸지 않았고 의견을 교환한 사실 자체가 없다고 반박했다.

이 전 장관 측은 <더팩트>에 "당시 김 위원이 먼저 이 전 장관에게 전화했고, 이 전 장관이 못 받아서 콜백(회신)했다"며 "(진정) 사건 관련 궁금한 사항을 몇 가지 묻길래 답해줬다"고 밝혔다.

이어 "어떤 질문과 답을 했는지는 오래 돼서 기억나지 않는다"며 "통상적으로, 있는 그대로 답했다. 전화가 와서 의견을 준 적은 있지만 이래라 저래라 지시한 적도 없고, 그럴 지위에 있지도 않았다"고 말했다.

반면 김 위원은 <더팩트>에 "먼저 전화한 사실이 없고, 이 전 장관이 콜백한 것도 아니고, 진정 관련 의견을 주고받은 것도 아니다"라며 "이 전 장관 본인이 무엇을 어떻게 기억하는지에 대해 알지 못한다"고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김 위원은 지난 2023년 8월 9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국방부의 채상병 사건 수사 외압을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어 군인권센터는 같은달 14일 인권위에 이종섭 전 장관, 김계환 전 해병대 사령관, 국방부 검찰단장, 국방부 조사본부장을 상대로 긴급구제 신청과 제3자 진정을 냈다. 진정이 접수된 당일 이종섭 전 장관과 김용원 위원의 통화가 이뤄졌고 29일에는 구제 신청이 기각됐다. 지난해 1월에는 제3자 진정도 기각됐다.

특검팀은 군인권센터가 김용원 위원을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로 공수처에 고발했던 사건을 지난 14일 이첩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기사 전체보기 

주소: (우: 04057)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촌로14길 20 (노고산동54-64) 태인빌딩 4층 전화: 02-7337-119 팩스: 02-2677-8119
기관명: 군인권센터
고유번호: 101-80-06648
대표자: 임태훈
이메일: mhrk119@gmail.com
Copyright © 2006 군인권센터 All rights reserved.
후원계좌
국민 00993704013027 (예금주: 군인권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