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와 사건이 알려져 자신에게 닥칠 불이익의 두려움이 들었다."
"군은 언제나 말한 사람이 쓰레기 취급을 받기 때문이라는 인식 때문이다."
피해자들에겐 휴대전화 등 물리적 지원보다 맘 편히 신고할 수 있는 정신적 환경 조성이 더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김형남 군인권센터 사무국장은 "신고할 수 있는 접근성이 높아진 것은 맞지만, 수단이 생겼다고 해서 신고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면서 "편리한 것과, 마음 놓고 신고할 수 있는 것은 완전히 다르다"고 강조했다.
'신고자=폐급(군대에서 부적응자를 비하할 때 쓰는 비속어)'이라는 인식 자체를 개선해야 한다는 주문도 이어졌다. 김 사무국장은 "('신고하면 폐급된다'는 심리의) 기저에는 신고해봤자 가해자는 처벌 안 받고 피해자만 2차 가해를 입는다는 생각이 있다"면서 "제대로 처벌하고 피해자를 보호하는 시스템이 없으면 피해자는 계속 이상한 사람으로만 내몰리게 된다. 조직을 바꿔야 하는 문제"라고 말했다.